보람상조 장례 상품 4가지 특장점 알아보기, 내상조그대로 서비스란?
상조 서비스는 갑작스러운 가족의 사망 시 장례 진행 절차에 대한 전문적인 서비스를 받음으로써 유가족의 경제적, 심리적 부담감을 크게 경감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보람상조 장례 상품 4가지 주요 특장점 및 내상조그대로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합리적 가격으로 준비하는 장례
장례에 필요한 비용은 상황에 따라 편차가 있을 수 있지만, 보통 수백만 원에서 많게는 천만 원 이상의 비용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장례는 꼭 치러야 하는 중요한 행사지만, 이렇게 높은 비용으로 인해 경제적 부담감을 느끼는 것도 무리는 아닙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미래에 발생할 고가의 장례 비용을 미리 대비하기 위해 상조 서비스를 가입합니다. 보람상조 장례 상품 역시 합리적인 가격으로 가입할 수 있는 3가지 상품을 제공하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상황에 대한 불안감을 크게 경감할 수 있습니다.
1) 상품별 가격
종류 | 가격 |
마이스터 35 | 월 35,000원 x 142회 +20,000 총 499만 원 |
마이스터 40 | 월 40,000원 x 149회 +30,000 총 599만 원 |
마이스터 45 | 월 45,000원 x 155회 +15,000 총 699만 원 |
2. 33년 노하우 및 고품격 서비스
보람상조는 1991년부터 지금까지 무려 33년 동안 상조서비스를 전문으로 진행하였으며, 현재 연간 1만 건 이상의 장례 행사를 치를 정도로 오랜 역사와 경험을 갖춘 브랜드입니다.
그리하여 지금은 직영 시스템을 통하여 전문인력을 직접 양성하고 있고, 그 결과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갖춘 5,000여 명의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최초로 신차 기준 1억 원 안팎의 링컨 콘티넨탈 리무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국내 최초 온라인 추모관 운영, 국내 최초 특허받은 선두차 꽃장식, 제단 꽃장식 배열 등 고품격 전문 서비스를 최초로 시행하고 있는 선진 상조 브랜드입니다.
3. 손실 걱정 없는 '내상조그대로' 서비스
많은 사람들이 상조 상품 가입을 고민하는 이유 중 한 가지는 상조 회사의 재정적 안전성 때문이 아닐까 싶은데, 아마도 상조 회사의 잦은 폐업 및 등록 취소로 인한 소비자 피해 사례가 많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공정거래위원회의 지원과 규제하에 운영되고 있는 '내상조그대로'라는 상조 피해구제 서비스가 있기 때문에, 소비자는 납입금에 대한 손실걱정 없이 안심하고 가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 '내상조그대로' 서비스
- 가입한 상조회사 폐업, 등록 취소 등으로 인해 상조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한 경우 이용 가능
- 기존 납입금 100% 인정받으면서 소비자가 희망하는 다른 상조 회사 상조 서비스 이용 가능
4. 다양한 전환서비스
보람상조 장례 상품은 다양한 전화서비스도 제공합니다. 전환서비스란, 가입한 상품을 장례가 아닌 다른 용도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인데, 현재 크루즈·웨딩·투어·수연·비아젬·펫 서비스까지 다양하게 전환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가입자는 반드시 장례 용도로만 사용할 필요 없이 상황에 따라 내가 납입한 자산을 보다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전환 가능 서비스
- 크루즈·웨딩·투어·수연·비아젬(주얼리 브랜드)·펫(장례) 서비스
지금까지 보람상조 장례 상품 4가지 주요 특장점 및 내상조그대로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보험 정보 > 기타 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체국 온라인 치매보험 3가지 특장점 알아보기, 최대 15년간 간병자금 보장! (0) | 2024.08.30 |
---|---|
우체국 온라인 비갱신 3대 질병 진단비 보험 특장점 알아보기 (0) | 2024.08.28 |
DB생명 기후보험 3가지 특장점 알아보기, 열사병 및 동상 보장! (0) | 2024.07.22 |
농협손해보험 3대 진단비 보험 3가지 특장점 알아보기, 암 및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보장! (0) | 2024.07.18 |
미래에셋생명 뇌심장보험 3가지 특장점 알아보기, 뇌혈관질환 및 허혈성심장질환 진단비 보장! (0) | 2024.07.15 |
댓글